 |
어르신의 경우 주로 저용량부터 사용하며, 의사 및 약사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
|
|
|
 |
용법 질병 합병증이 많아서 복용 약물의 종류와 복용회수가 복잡할 수 있으므로 표를 그려 잘 보이는 곳에 두고, 이에 따라 잊지 않고 약 복용을 합니다. |
|
|
|
 |
약물유해반응 어르신의 경우 약물유해반응 발현 위험성이 크므로 발현 즉시 의사 또는 약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
|
|
|
 |
약의 형태 외용제인지 내복제인지 확인하고, 약의 형태에 대한 복약지도를 받은 경우 기록해 두어야 합니다. |
|
|
|
 |
꾸준한 약복용 대부분 만성질환을 앓는 경우가 많으므로, 처방된 약물을 꾸준히 복용했을 때 질환이 잘 조절됩니다. |
|
|
|
 |
약물 변경 약물 복용을 중단하거나 추가로 약물을 복용하기 전에 반드시 의사나 약사와 먼저 상의합니다. |
|
|
|
 |
약물 보관 약물은 일반적으로 직사광선이 비치지 않고, 서늘하며 건조한 곳에 보관합니다. 그러나 차광보관, 냉장보관 등의 지시사항이 있는 약은 이에 따라 보관하여야 합니다. |
|
|
|
 |
유효기간 구입한 약물의 이름과 용도, 유효기간을 적어서 보관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을 경우 버려야 합니다. |
|
|
|
 |
일반의약품 감기약, 변비약 등을 처방 없이 일반의약품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많으나, 어르신환자들은 의사의 처방에 의해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더욱 안전합니다. |
|
|
|
 |
복용 약물 파악 여러 종류의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의 경우, 현재 복용하는 약물을 기록하여 병원이나 약국 방문 시 추가로 복용하는 약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 상담하여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