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산선 |
신안산선 복선전철 건설사업 |
|
금천구청역사 개발 |
금천구청역 복합역사 건립 추진 |
|
공군부대 이전 |
공군부대 이전 및 개발계획 추진 |
|
서울시립대 교양대학 유치 추진 |
산학협력 캠퍼스 유치 추진 |
|
호암산 숲속 도서관 건립 |
숲속작은도서관 건립 조성 |
|
금천주민광장 조성 |
금천구민광장 조성 |
|
금천이 시작한 서울형 혁신교육 지구 사업 업그레이드 |
서울형 혁신교육지구 사업 업그레이드 |
|
동서간도로 개설 지속 추진 |
동서간 도로개설 지속 추진 |
|
독산로(20m) 획기적 스마트 환경 개선 |
독산로(20m) 획기적 스마트 환경 개선 |
독산로(20m) 획기적 스마트 환경 개선 (예산, 목표 변경)
|
독산로 거리문화 개선(일명 ‘빨간집’ 정리) |
독산로 거리문화 개선(일명 ‘빨간집’ 정리) |
|
균형발전특별자금 유치 |
균형발전특별자금 유치 |
|
주민우선, 수요자 맞춤 일자리 지원 강화 |
주민우선, 수요자 맞춤 일자리 지원 강화 |
|
가칭 '청년미래기금' 조성으로 청년 창업지원 |
청년활동 지원을 위한 청년 미래기금 조성 |
|
'금천 청년 콜라보홀' 구축 |
금천 청년콜라보홀 구축 |
|
장애인, 체육, 직능, 사회단체 등과 협치 강화 |
장애인, 체육, 직능, 사회단체 등과 협치 강화 |
|
청년창업 메이커스페이스 건립 |
메이커스페이스 건립 |
|
가산동 주민공원 |
가산동 공원소외지역 녹지 확충 |
가산동 공원소외지역 녹지 확충 (예산, 목표 변경)
|
안양천 횡단보도교 신설 |
안양천 횡단보도교 신설 |
|
제2문화체육센터공원 건립 |
제2문화체육센터(다목적문화체육센터) 건립 |
|
시흥3동 서울둘레길 만남의 광장 조성 |
서울둘레길 만남의 광장 조성 |
|
청소년공공뮤지컬스쿨 건립 |
(가칭)금천뮤지컬스쿨 건립 |
|
시흥5동 주민센터 신축 |
시흥5동 주민센터(복합청사) 신축 |
|
금천소방서 조기 건립 |
금천소방서 조기 건립 |
|
장애인복지센터 건립 |
금천어울림복지센터 건립 |
|
50+센터 건립 |
50+센터 건립(가칭 금천어르신복지센터 건립) |
|
보훈회관 신축건립 |
보훈회관 신축 건립 |
|
우시장 그린푸줏간 건립 |
독산동 우시장 그린푸줏간 조성 |
|
서서울미술관 건립 |
서서울미술관 건립 |
|
독산동 재활용처리장 이전 |
독산동 재활용처리장 이전 |
|
다문화가족 통합지원센터 건립 |
다문화가족 통합지원센터 건립 |
다문화가족 통합지원센터 건립 (예산, 목표 변경)
|
서울시 남부기술교육원 유치 |
서울시 남부기술교육원 유치 기반 조성 |
서울시 서남권 기술특화캠퍼스 금천캠퍼스 유치(공약명, 목표 변경)
|
두산길 지하차도 완성 |
디지털3단지~두산길간 지하차도 건설 |
|
금천구청역~기아대교 도로개설 |
벚꽃로(금천구청역~기아대교간) 도로개설 |
|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통한 시흥사거리⋅독산역세권 기능 강화 |
지구단위계획을 통한 독산역 준공업지역 기능 강화 |
|
금천 IT‧패션 특정(복합) 개발 진흥지구 |
금천IT지식기반산업집적지구 지정 추진 |
|
봉제산업지원센터 건립 |
봉제산업지원센터 (스마트앵커 시설) 건립 |
서울패션스마트센터 금천솔루션 앵커 조성(공약명, 예산, 목표 변경)
|
G밸리발전협의회 확대 운영 |
G밸리발전협의회 확대 운영 |
|
민간산후조리원 이용비 감면 대상 및 지원범위 확대 |
민관이 함께하는 산후조리원 이용비 감면 |
민관이 함께하는 산후조리원 이용비 감면 (목표 변경)
|
온종일 돌봄 체계를 초등학교 전학년으로 확대, 거점별 실시 |
온종일 돌봄 체계를 초등학교 전학년으로 확대, 거점별 실시 |
|
금천마을형 진학진로지원센터 추진 |
금천마을형 진학진로지원센터 추진(마을형기숙사 포함) |
금천 진학진로지원센터 조성(공약명, 예산, 목표 변경)
|
금천 창의융합인재지원 플랫폼 구축 |
금천창의융합 인재지원 플랫폼 구축 |
금천 과학창의인재양성 플랫폼 구축(공약명, 예산, 목표 변경)
|
금천미래문화도시비전 선포 |
금천미래문화도시비전 선포 |
|
정조대왕 행궁복원 및 능행차 행사 지원 강화 |
시흥행궁 복원 및 정조대왕 행사 지원 강화 |
시흥행궁 복원 및 정조대왕 행사 지원 강화(예산, 목표 변경)
|
호암산성 복원 지속 및 역사공원화 지원 |
호암산성 복원 지속 및 역사공원화 지원 |
호암산성 복원 지속 및 역사공원화 지원
|
금천문화재단 사업 확대를 통한 금천문화 역량 강화 |
금천문화재단 사업 확대를 통한 금천문화 역량 강화 |
|
아트테라피센터 개설 및 운영 |
아트테라피센터 개설 및 운영 |
|
문화다양성도시 선언 및 조례제정 등으로 문화다양성 확보 |
문화다양성도시선언 및 조례제정 등으로 문화다양성 확보 |
|
그늘막 50곳’, ‘온두막 30곳’ 설치 |
폭염한파 피해 저감시설 확대 |
폭염한파 피해 저감시설 확대(예산, 목표 변경)
|
금천캠핑장 설치 추진 |
금천캠핑장 설치 추진 |
금천 힐링가족 캠핑농장 조성(공약명, 예산, 목표 변경)
|
미세먼지 제거 전문 살수차 추가 도입 및 운영시간 확대 |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도로분진흡입청소차 추가 도입 및 운영시간 확대 |
|
초등학교 전체 교실 공기청정기 설치 |
미세먼지 대응 초등학교 교실 공기청정기 지원 |
|
미세먼지 대책 |
미세먼지 대책 |
|
환경보존형 모노레일 건립 |
무장애숲길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이동편의수단 도입 |
무장애숲길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공약명, 예산, 목표 변경)
|
도시재생지원센터 |
금천구 도시재생센터 설치 및 도시재생대학 운영 |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제11조 및「서울특별시 금천구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 제8조에 따라 도시재생지원센터 설치시 도시재생대학을 운영할 근거가 포함되어 통합 추진 |
|
도시재생대학 운영을 통한 주민 공감대 확산 및 역량 강화 |
|
전문 진학강사 초빙과 학교 맞춤형 대학 입시 지원 프로그램 운영 |
전문 진학강사 초빙과 학교 맞춤형 대학 입시 지원 프로그램 운영 |
대입 관련 공약을 「학교 맞춤형 대학 입시 지원 프로그램」 으로 통합 |
전문 진학강사 초빙과 학교 맞춤형 대학 입시 지원 프로그램 운영(예산, 목표 변경)
|
졸업생 및 마을주민 멘토링 제도 도입 |
|
금천 마을민주주의 사업 확대 |
사회적경제 활성화 |
당초 공약인 「금천 마을민주주의 사업 확대」 하위사업 중 사회적 경제 지원 확대는 사업성격이 달라 주관부서를 구분하여 공약 추진 |
|
금천 마을민주주의 사업 확대 |
|
저층주거지 주거환경 개선 |
중심지기능 강화를 위한 용적률 상향 및 상업지역 확대 |
당초 공약인 「저층주거지 주거환경 개선」 하위사업 중 ‘도시재생 적극 추진, 용적률 상향 집중 건의, 상업지역 확대’는 도시 재생과 상업지역 확대가 사업성격과 관계법령이 달라 주관부서를 구분하여 공약 추진 |
|
저층주거지 주거환경 개선 |
|
석수역세권, 시흥유통상가를 관문도시답게 개발지원 |
서남권 관문도시 종합계획 수립 지원 |
‘서울 관문도시 조성사업 종합계획’ 관련 석수역 일대 종합개발계획 수립과 시흥유통상가의 도시첨단물류단지 조성은 사업성격과 주관부서가 달라 구분하여 공약 추진 |
|
시흥유통상가를 관문도시답게 개발 지원 |
|
대형종합병원 |
대형종합병원 건립 추진 |
대형종합병원 설립허가이후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지구단위계획 세부개발계획 수립 결정이 선행이 필요해 주관부서 구분하여 공약 추진 |
|
종합병원 건립을 위한 지구단위 계획 세부개발계획 수립 |
|
태아부터 시작하겠습니다 |
아동생활안전보험료 지원 |
당초 공약인 「태아부터 시작하겠습니다」 하위사업 중 ‘임산부 친환경 식재료 지원 및 숲태교 사업’과 ‘5세 이하 영유아 대상 상해보험료 지원’은 사업성격이 달라 주관부서를 구분하여 공약 추진 |
|
모든 임신부 친환경 식재료 지원 및 숲 태교 사업 확대 |
|
독산분소지역 주공13단지 보건지소 및 데이케어센터 건립 |
독산1동 분소 독산보건지소 건립 |
당초 공약인 ‘독산분소지역 주공13단지 보건지소 및 데이케어센터 건립‘은 보건지소와 데이케어센터 건립 소관부서가 달라 구분하여 공약 추진 |
독산1동 분소 독산보건지소 건립(예산, 목표 변경)
|
독산분소지역 주공13단지 데이케어센터 건립 |
|
안양천길 및 둘레길 입구 등에 산책길 사물함 설치 |
서울둘레길 입구 무인보관함 설치 |
당초 공약인 ‘안양천길 및 둘레길 입구 등에 산책길 사물함 설치‘는 안양천과 둘레길 소관 부서가 달라 구분하여 공약 추진 |
|
안양천 산책로 개인용품 보관함 설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