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방(e-vote)
제안내용
문화체육
금천구 대표 공연 예술 아티스트 모집 및 지원 사업
|
|
현황 및 문제점 | 지역 행사에 유명 가수나 연예인을 초빙하는 것은 축제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대표적인 마케팅의 일환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이 행사에 많은 세금이 쓰였겠구나.'라는 것을 모든 주민들이 알게 되지요. 그렇다면 전국적 인지도는 낮을지 몰라도 우리 동네에서는 유명한 '우리 동네 대표 스타'를 직접 육성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다른 여러 지자체에서도 시행 중인 주민도 행복하고, 아티스트도 행복한 정책사업을 금천구만의 차별점을 두어 시행할 수 있도록 제안해 봅니다. 저는 최근 인디 음악에 흠뻑 빠져 좋아하는 인디 가수의 각종 공연을 보러 다니고, 무대 영상을 녹화하여 SNS와 유튜브에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인디 가수들은 유명한 대중가수들과는 달리 소규모 라이브 클럽, 지역 행사, 길거리 등을 주 무대로 삼아 공연합니다. 관객 입장에선 훌륭한 라이브 무대를 가까이서, 저렴하게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지요. 마음만 먹으면 같이 사진을 찍거나, 대화의 기회도 얻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공연을 다니다 보니 몇몇 지자체에서는 자체적으로 거리 예술 아티스트를 모집하여 관리하고, 지역 내 공연 장소를 제공해 주고, 지자체 행사나 공연에도 주기적으로 부르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예시) 고양 버스커즈 (http://www.gbusker.or.kr/busking/) 김포 버스커 (https://www.gcf.or.kr/main/pst/view.do?pst_id=news&pst_sn=3382) 서울 구석구석 라이브 거리공연단 (https://seoulbusking.com/) 용인 아임버스커 (https://www.instagram.com/yongin_imbusker/) 중랑 아티스트 (https://blog.naver.com/jnfac_official/223340588714) 이 정책사업 덕분에 저는 좋아하는 뮤지션의 행사 무대를 보기 위해 특정 지자체에 방문하게 되는 일이 늘었고, 지역 주민들 중에서도 해당 뮤지션의 팬이 되어 무대를 보기 위해 지역 행사에 방문하는 분들이 있다는 것을 인디 뮤지션 SNS와 유튜브 운영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며칠 전 금천 청년축제인 '혼자 가도 괜찮은 축제'를 관람하며, '아, 우리 동네에도 저런 정책사업이 있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어 정책 제안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금천구는 가산/구로디지털단지 외 서울/경기권 타 지역으로 출근하기 위해 거주하는 1인가구 청년들이 많으며, 문화예술적 취미생활이나, 사람 간의 교류에 목말라있습니다. 저 역시 그런 사람 중 한 명이지요. 유명 연예인과는 달리 우리 동네로 직접 찾아오고, 가까이서 볼 수 있는 멋진 아티스트가 있다면? 또, 그들을 중심으로 팬덤이 형성되고 그들 간의 교류의 장이 열리게 된다면? 이는 금천구에도, 거주하는 청년들에게도 큰 메리트가 되어줄 것입니다. |
---|---|
개선방향 | ㅁ 금천 공연 예술 아티스트(가칭) 모집
- 매 년 특정 기간 신규 모집 - 모집 부분 : 밴드, 댄스, 연주, 마술 등 공연이 가능한 장르 전반 (MR+단순 보컬 제외) - 모집 방식 * 1차 오디션 : 신청서+공연 영상 메일 접수, 심사 * 2차 오디션 : 현장 심사 * 2차 오디션은 상황에 따라 생략 가능하지만, 추후 오디션을 지역 행사로 발전시켜 서바이벌 오디션 예능프로처럼 현장 투표를 도입한다면 주민 참여율과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모집 인원 * 팀 단위로 10~50팀 모집 * 아티스트마다 행사 참여 가능 빈도 및 일정이 매번 다를 것이므로, 관리 가능한 선에서 매년 모집 인원/선발 기준 조정 * 현재 서울 구석구석라이브 거리공연단은 149팀, 고양 버스커즈는 160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금천구 대표 아티스트'를 표방하는 만큼 수를 줄이고, 행사 참여 빈도 및 현장 호응이 높은 아티스트를 위주로 구성하는 것을 추천 - 선발 기준 * 자체 채점 기준을 세워 선발 * 금천구 거주자가 팀 내 존재할 경우, 금천구 공연 경험이 있는 경우 가산점을 주도록 함 예시) 채점 기준 (100점 만점) 서류 평가(경력, 수상 기록 등) - 0~20점 영상 평가 - 0~40점 팀 내 금천구 거주자 존재 - 20점 가산 (고정) 금천구 공연 경험 - 5~20점 가산 (횟수 별 차등 적용) ㅁ 금천 공연 예술 아티스트(가칭) 중심의 무대 행사 - 공연 무대가 있는 금천구 주관 축제, 행사에 소속 아티스트 1~4팀을 우선적으로 초빙, 홍보자료에 '금천 공연 예술 아티스트(가칭)'임을 명시 * 하모니 축제, 구민의날, 한마음체육대회, 혼찮은 축제 등 - 소속 아티스트 중심의 정기 공연 및 페스티벌 개최 ㅁ 홈페이지 제작 및 운영 - 홈페이지 구성 예시 * 메인 화면 : 대시보드형 단일 페이지 * 사업 소개 : 단일 페이지 * 구내 공연장 소개 : 썸네일형 게시판. 공연장 이름/위치/사진 기재 * 아티스트 소개 : 썸네일형 게시판. 사진/프로필/SNS기재 * 공연 일정 : 캘린더형 단일 페이지 * 영상/사진 : 썸네일형 게시판. 공연 사진, 영상 게시 * 공지사항 : 일반 게시판 * 관리자용 페이지 : 로그인 화면, 각 게시판 게시물 작성 화면 - 운영 주체 * 금천문화재단 : 일반적인 정책 사업에서의 운영 주체 * 연계 공연장 지원을 통한 홈페이지 위탁 운영 (하단 4번 항목 내용 참조) ㅁ 구내 공연 문화 활성화를 위한 공연장 개발/지원/연계 - 지정된 무대들을 홈페이지서 소개하고 소속 아티스트들에게 공연장 사용 에 대한 편의사항/혜택을 제공하거나, 기획 공연을 열 수 있도록 지원함 - 버스킹 존 개발/지정 * 구에서 관리하는 버스킹 존을 지정하여, 아티스트에게 공연 신청 허가를 받아 자율적으로 공연하거나, 구에서 기획한 계절 별 야외 정기 공연 무대 제공 예시) 부산 해운대 버스킹 존 10곳 (https://m.blog.naver.com/emfja2/223303078511 , https://www.haeundae.go.kr/reserve/index.do?menuCd=DOM_000000502008003000) 서울시 한강공원 버스킹 존 22곳 (https://m.blog.naver.com/sooheenam/223247477832) 고양시 공식 버스킹 존 13곳 (http://www.gbusker.or.kr/busking/bbs/board.php?bo_table=place&page=2&page=1) * 기존 열린문화공연공간인 안양천 다목적광장, 구청광장, G밸리 일대에 버스킹 구역을 신설하거나 맛나는 거리, 대명시장, 체육공원, 공터 등 특정 지역을 정비하여 10~20개 가량의 구내 버스킹 존을 만들어 관리하는 것을 추천 - 연계 공연장 * 구내 무대가 있는 라이브 카페 등을 선정, 지원금 등의 소정의 혜택을 제공하여 소속 아티스트들의 정기 공연을 개최할 수 있도록 하거나, 무대 대관 시 할인혜택을 줄 수 있도록 함 * 대표적으로 수상한 협동조합에서 운영하는 수상한 창고가 있음 1)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금하로24길7 지하1층 2) 홈페이지 : https://suscoop.com/ 3) 특이사항 : 매주 금요일 다양한 인디 아티스트들이 참여하는 '수상한 스테이지' 진행, 무대 대관 외 다양한 모임 활동 주관 * 이러한 공연장들은 보통 아티스트/관객 모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전폭적인 지원/연계를 통하여 보다 원활하고 유연한 사업 전개를 꾀할 수 있으며, 홍대의 라이브 클럽처럼 금천구의 오프라인 공연예술 커뮤니티의 거점이 될 수 있음 예시) 해당 정책사업의 홈페이지 운영 주체를 수상한 창고로 지정/위탁하면 기존 인프라와 리소스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홈페이지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기존 수상한 창고가 확보한 공연예술 고관심 층을 타겟으로 직접적인 홍보가 가능하여, 홍보 비용 절감 및 효율 증가가 예상 됨 ㅁ 소속 아티스트 창작 활동 지원 - 아티스트/공연장 간 정보 교류 및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행사 혹은 교류회 진행 - 창작물 제작 지원 * 소속 아티스트가 금천구를 홍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창작물 제작 지원을 신청하면 우수 사례를 뽑아 뮤직비디오, 앨범, 굿즈 등 창작물 제작을 전반 지원하고 사업 인프라를 통하여 대대적으로 홍보 예시1) 새로 낼 곡의 뮤직비디오에 금천구 곳곳의 독특한 풍경을 담아 많은 사람들이 금천구 구석구석의 매력을 알게 할 것입니다. 예시2) 우리의 이번 퍼포먼스는 금천구에서 유명한 음식들을 소재로 하여 금천구의 여러 먹자골목과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싶습니다. 굿즈도 관련 디자인으로 제작할 것입니다. * 창작물 제작 시 구내 관련 업체/관계자를 매칭해주는 시스템이 갖춰진다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
기대효과 | 1. 공연 행사를 필두로 한 구내 오프라인 커뮤니티의 활성화
2. 공연 시 구민의 행사 참여 증진, 아티스트들의 기존 팬덤 유입 등의 효과로 지역 경제 활성화 3. 인디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한 공연 문화의 중심지로 부상 가능 4. 해당 사업을 거쳐 유명세를 타게 된 아티스트가 있을 경우, 해당 정책사업과 지역에 대한 엄청난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소요예산 | 총 약 4000~5000만원 / 1. 무대지원사업(초기 비용) - 버스킹존 설치 1~2곳 500만원, 사설 공연장 1~2곳 대여 지원금 200만원 / 2. 아티스트 모집 - 홍보 100만원, 심사 등 200만원 / 3. 홈페이지 제작 및 운영 - 제작 50만원, 운영 (연간)100만원 / 4. 창작 활동 지원 - 3팀 선정, 총 3000만원(팀 당 1000만원) |
첨부파일 |
|
20표 이상의 공감을 얻어야 실무부서 검토가 진행됩니다.
투표결과
투표기간 | 2024-09-13 ~ 2024-10-11 |
---|---|
추천수 | |
미채택사유 |
제안상태
- 01 투표대기
- 02 구민투표
- 04 미채택
실무부서 검토내용
담당부서 | |
---|---|
담당자 | |
검토 결과 | 채택불가 |
검토의견 |
안녕하십니까?
평소 구정발전에 관심을 가져주신 귀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귀하께서 제안해 주신 사항에 대하여 소관부서의 검토사항을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검토부서 : 기획예산과 (02-2627-1075) 검토사항 : ○ 제안해주신 '우리 동네 대표 스타' 육성 등의 아이디어는 현재 예산 등의 사유로 지원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 향후 문화예술인 지원 정책 수립 시 해당 의견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구정발전을 위해 올려주시는 참신한 제안들을 소중히 모아 좋은 정책과 제도를 개발하는 밑거름으로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총 0개의 의견이 있습니다.